경기헤드뉴스 임채헌 기자 | 逢 :만날 봉 , 危:위태할 위 , 須:기다릴 수 , 棄:버릴 기 위험을 만나면 과감히 돌을 버린다는 뜻으로, 잘못된 상황에서 버릴 것은 과감히 버리고 적당한 때가 올 때까지 기다려야 함을 이르는 뜻이다. 영상출처:북올림
경기헤드뉴스 임채헌 기자 | 用:쓸 용, 管:대롱 관, 窺:엿볼 규, 天:하늘 천 대롱의 구멍으로 하늘을 엿본다는 말로 좁은 식견으로는 광대한 사물의 모습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춘추시대 말기 편작(扁鵲)이라는 뛰어난 명의가 있었다. 그가 괵이라는 작은 나라에 간 일이 있었는데 갑자기 그 나라의 태자가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편작은 궁궐의 어의를 만나 태자의 병에 대해 듣고 태자를 살려보겠다고 하였다. 괵 나라의 어의는 깜짝 놀라며 편작을 비웃었다. 편작은 “당신의 의술은 대롱을 가지고 하늘을 엿보며(用管窺天) 좁은 틈새로 상황을 살피는 것과 같이 도저히 전체를 간파한다고 할 수 없소. 나의 의술은 전체를 보는 것이요. 못 믿겠으면 다시 한 번 태자를 진단해 보시오. 양쪽 허벅다리를 쓰다듬어 가다가 음부에 닿으면 아직 그곳이 따뜻할 것이오.” 반신반의(半信半疑)하며 다시 살펴보니 과연 편작의 말대로였다. 마침내 편작이 침을 놓자 태자가 살아나 며칠 후 건강을 되찾았다. 이 일로 편작이 죽은 이도 살려낸다는 소문이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자 편작이 겸손히 말하였다. “나는 죽은 이를 소생시킨 것이 아니라 아직 죽지 않은 사람을 고친 것뿐입니다.”
경기헤드뉴스 임채헌 기자 | 指:손가락 지 , 鹿:사슴 록 , 爲:할 위 , 馬:말 마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한다는 뜻으로 얼토당토않은 것을 우겨서 남을 속이려 할 때 쓰는 말이며, 윗사람을 속이고 권세를 휘두르는 자들을 비판할 때 쓰기도 한다. 시황제 사후, 간신 조고는 승상 이사와 짜고 진시황의 어리석은 아들 호해를 옹립하고자 장남인 부소, 명장인 몽염에게 자결을 명하는 시황제의 거짓 유서를 날조하여 둘을 제거한 뒤 그를 황제에 옹립시킨다. 그리고는 자신과 결탁했던 승상 이사를 비롯한 자신에게 걸림돌이 될 것 같은 조정 중신들을 호해를 꼬드겨 하나하나 죽이고 승상의 자리에 오르는데,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자신이 황제가 될 속셈을 품고 조정 신료들이 자신을 따를지 살피기 위해 어느날 사슴을 가져와 호해 앞에 바치면서 말을 바친다고 말했다. 영문을 몰랐던 호해는 웃으면서 "승상이 잘못 아시는구려, 사슴더러 말이라 한단 말이오?"라고 어이없어 했으나 조고는 이 과정에서 뒤돌아 조정 신료들의 반응을 살폈다. 사실 이게 말이 안되는 건 그도 알고 있었으나, 자신의 주장에 토를 달며 걸림돌이 될 거 같은 신료들을 파악하기 위해 일부러 이런 상황을 만든 것이었다. 그리
경기헤드뉴스 임채헌 기자 | 捲:거둘권 , 土:흙토 : 重:거듭중 , 來:올래 한 번 전쟁에 패했어도 힘을 다시 비축해 승리를 거머쥔다, 혹은 일이 한 번 실패해도 다시 가다듬고 성공에 이른다는 의미로 쓰인다. 중국 당나라 후기의 시인 두목의 시 '제오강정(題 烏江亭, 오강 정자에서 짓다) 에서 유래했다. 오강은 항우가 유방에게 패하여 최후를 맞이한 곳인데, 당초 두 사람은 '홍구'를 경계로 천하를 나누기로 했었으나 유방은 항우를 살려두면 후환이 되니 그를 습격해서 죽여야 한다는 장량과 진평의 진언에 따라 화의를 깨고 해하 전투에서 항우를 추격해 포위했다. 항우는 오강으로 도망쳤는데 이때 배를 끌고 온 오강의 정장이 강동(강남)으로 돌아가서 재기하시죠.라고 권했으나 항우는 "강동에서 함께 일어난 8천 장정들이 모두 죽었는데 무슨 낯으로 강동으로 돌아가겠나?"라면서 유방의 포위망에 뛰어들어 최후의 결전을 치르다 목을 베어 자결한다. 그로부터 천여 년이 지나, 당나라 후기의 시인 두목이 오강의 객사에 머무르다가 항우와 오강정장의 이야기를 떠올리고 지은 시가 바로 '제오강정'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당시 항우가 강동에서 재기하기란 불가능에 가까웠다. 당시만 해도
경기헤드뉴스 임채헌 기자 | 愚:어리석을 우 , 公:공변될 공 , 移:옮을 이 , 山:메 산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우공(愚公)이라는 노인이 집을 가로막은 산을 옮기려고 대대로 산의 흙을 파서 나르겠다고 하여 이에 감동한 신이 산을 옮겨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중국의 태행(太行)과 왕옥(王屋) 두 산맥은 오래전엔 북산(北山)을 사이에 두고 지금과는 다른 곳에 있었다. 북산에 살고있던 우공(愚公)이라는 노인이 높은 산에 가로막혀 왕래하는 데 겪는 불편을 해소하고자 두 산을 옮기기로 하였다. 둘레가 700리에 달하는 큰 산맥의 흙을 퍼담아서 왕복하는 데 1년이 걸리는 발해만(渤海灣) 까지 운반하는 작업을 하는 우공(愚公)의 모습을 보고,친구 지수(智叟)가 그만둘 것을 권유하자 우공(愚公)이 말했다. "나는 늙었지만 나에게는 자식과 손자가 있고, 그들이 자자손손 대를 이어나갈 것이다. 하지만 산은 불어나지 않을 것이니, 대를 이어 일을 해나가다 보면 언젠가는 산이 깎여 평평하게 될 날이 오겠지." 산신령에게 이 말을 전해들은 옥황상제가 두 산을 멀리 옮겨주어 노인의 뜻은 성취되었다. 1년 동안 묵
경기헤드뉴스 임채헌 기자 | 立:설 립 , 象:코끼리 상 , 盡:다할 진 , 意:뜻 의 형상을 세워서 나타내려는 뜻을 전달한다는 뜻이다. 중국 송나라의 황제 휘종은 훌륭한 화가였고 그림을 아주 사랑했다. 그래서 자주 궁중에 화가들을 초대하여 그림 대회를 열었다. 그때마다 황제는 직접 그림제목을 정했는데, 보통은 유명한 詩의 한 구절을 따오거나 자신이 제목을 내걸었다. 한 번은, '꽃을 밟고 돌아가니 말발굽에서 향기가 난다.'였다. 그러니까 황제는 화가들에게 말발굽에 묻은 꽃향기를 그림으로 그려보라고 한 것이다. 모두들 그림에 손을 못대고 쩔쩔매고 있을 때 한 젊은이가 그림을 제출하였다. 사람들의 눈이 그림위로 쏠렸다. 말 한 마리가 달려가는데 그 꽁무니를 나비떼가 뒤쫓아가는 그림이었다. 젊은 화가는 말을 따라가는 나비 떼로 꽃향기를 표현했다. 나비 떼라는 형상으로 말발굽에 묻은 향기를 충분히 전달하였던 것이다. 어느 날 황제 휘종은, '어지러운 산이 옛 절을 감추었다.'는 화제(畵題)를 내놓았다. 이번에도 화가들은 고민에 빠졌다. 어떻게 그려야 할까? 얼마후 한 화가가 그림을 들고 나왔다. 그런데 그의 그림은 다른 화가의 것과 달랐다. 우선 화면 어디에도 절
경기헤드뉴스 임채헌 기자 | 柔:부드러울 유 , 弱:약할 약 , 謙:겸손할 겸 , 下:아래 하 부드럽고 유연하며 겸손하게 자신을 낮추는 것이 강한 것을 누른다는 의미이다 노자의 스승 상용이 죽음을 앞두고 있는 어느날 이었다. 위독하다는 소식을 들은 노자가 급히 스승을 찾아 임종을 지켰습니다. “선생님! 제게 남기실 가르침은 없으신지요?” 노자는 스승 상용(商容)이 늙고 병들어 세상을 뜨려하자 이렇게 가르침을 청했다. 스승이 입을 크게 벌리며 말했다. “내 입속을 봐라. 무엇이 보이느냐?” “혀가 보입니다.” “이빨은 보이지 않느냐?” “예. 선생님!” 스승이 말했다. “알겠느냐?” 노자가 답했다. “딱딱하고 센 것은 없어지고 약하고 부드러운 것은 남는다는 말씀이시지요?” 그러자 스승은 돌아누우며 말했다. “천하 일을 다 말했느니라.” 허균이 쓴 한정록에 나오는 얘기다. 스승 상용이 입안을 보여주며 가르치고자 한 까닭은 무엇인가. 우리네 삶의 위대한 스승 노자의 대꾸가 그야말로 보탤 것도 뺄 것도 없는 답이다. 천하와 도를 두루 헤아리고 통찰했던 노자 선생도 이처럼 몸을 낮췄다. 영상출처:북올림
경기헤드뉴스 임채헌 기자 | '대한민국의 이름으로 기억하겠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10월 1일, 제73주년 국군의 날 기념식 참석을 앞두고 마린온 순직자 위령탑을 찾았습니다. 문 대통령은 해병대 항공단 창설 준비 과정에서 추락사고로 순직한 영웅들의 위령탑을 방문해 헌화와 분향, 묵념까지 진행했는데요. 함께 방문한 유가족들에겐 깊은 위로를 전했습니다. 마린온 순직자 위령탑 참배 현장, 문워크에서 전해드립니다. ※ 마린온 순직자 : 故 김정일 대령, 故 노동환 중령, 故 김진화 상사, 故 김세영 중사, 故 박재우 병장
방탄소년단(BTS)이 신곡인 퍼미션 투 댄스 를 공개했다
서울시립청소년문화교류센터(미지센터)가 7월부터 비대면 청소년 진로 체험 프로그램 ‘슬기로운 진로탐구생활’을 실시한다. 웹툰 작가, 조향사, 프로게이머 등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진로 체험 영상을 제작해 미지센터 유튜브 채널로 배포할 예정이다. 슬기로운 진로탐구생활은 청소년의 직업 선호도 및 성장 가능성 등을 고려해 진로 분야를 선정했다. 특히 전문가의 일상 및 실제 업무에 중점을 둬 영상을 시청하는 청소년들이 해당 직무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첫 번째 영상의 주인공인 천범식 웹툰 작가는 현재 국내 최대 웹툰 플랫폼인 네이버 웹툰에서 ‘사람의 조각’을 연재하고 있으며, 대표작으로는 ‘돼지우리’, ‘고스트보드킹’ 등이 있다. 이어 총 4편의 영상을 차례대로 업로드할 예정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청소년들의 현장 진로 체험 기회가 크게 위축된 상황에서 슬기로운 진로탐구생활을 통해 청소년들이 평소 관심을 뒀던 다양한 진로 분야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미지센터 홈페이지, 유튜브 채널 등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유튜브 채널 구독·알림 설정을 통해 신규 영상 업로드 소
경기헤드뉴스 임수연 기자 | BTS가 미국 3대 음악시상식으로 꼽히는 2021 아메리칸 뮤직어워즈에서 대상격인 올해의 아티스트로 선정되었다. 1974년에 시작된 이시상식에서 아시아가수가 대상을 받은 건 처음이며 팝스타 테일러스위프트, 아리아나 그란데, 올리비아로 드리고,드레이크 등을 줄줄이 제치고 아티스트상을 수상하였다. 출처: Erica Erica
경기헤드뉴스 성미연 기자 | 문 대통령과 BTS(방탄소년단)의 콜라보에 세계 각국이 열렬한 응원을 보냈다! 미래세대와 문화를 위한 대통령 특별사절 임명되어 UN에서 두 번째로 연설한 BTS(방탄소년단)! 연설 장면은 물론 특사 임명 비하인드 스토리와 뉴욕 방문 계기로 한 미술관 관람까지... 대통령 특사 BTS(방탄소년단)의 활약상을 전부 담았습니다. BTS's Every moment in New York "Army! You are my unive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