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헤드뉴스 임수연 기자 | 대한안과학회에서는 매년 11월 11일을 ‘눈의 날’로 기념하였으나, 2017년부터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세계 눈의 날’에 맞춰 10월 두번째 목요일로 기념하고 있다. ‘눈의 날’은 국민 모두가 건강한 눈으로 건강한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눈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올바른 상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눈의 건강에 위해가 되는 모든 요소를 제거하는데 국민 모두가 노력하도록 하고, 눈과 관련된 사회의 부당한 제한적 관념과 제도를 시정할 수 있도록 관심을 환기시키는 날로 하자는 데에 취지를 두고 있다. ‘눈의 날’은 1956년에 처음으로 제정되어 1972년에 18회까지 계속 시행 해 오다가 1973년에 보건사회부에서 시행하는‘보건의 날’과 통합되었으나 1989년(제19회)에 다시‘눈의 날’로 시행되었다. '눈 건강을 지키는 12가지 생활습관' 책이나 컴퓨터 모니터, TV는 눈높이보다 낮게 TV나 컴퓨터 모니터가 눈높이보다 위에 위치에 있으면, 눈을 크게 떠야 하기 때문에 안구가 쉽게 건조해진다. 건조함은 눈의 피로를 가중시키니 TV나 모니터는 눈높이보다 아래로 할 것. 30분에 한 번씩 눈을 감자. 컴퓨터 모니터를 장시간
경기헤드뉴스 임채헌 기자 | 장수가 자기 부하의 종기를 빨아서 고쳐 나았다는 말에서 유래된 말로 윗사람이 부하를 극진히 사랑함의 비유하는 말 혹은 목적달성을 위한 가면적 사랑을 뜻한다. 전국시대 초기 병법가인 오기(吳起)는 위(衛)나라의 부자의 아들로 태어나서 관리가 되고자 했으나 그 뜻을 이루기도 전에 재산을 탕진하여 고향에서 웃음거리가 되고 말았다. 오기는 자기를 비웃은 자 30여 명을 죽이고 딴 나라로 도망쳤다. 그때 그는 스스로의 팔꿈치 살을 뜯어 물어 어머니에게 맹세했다. “대신이나 재상이 되기 전에는 돌아오지 않겠습니다.” 그는 노나라에 가서 공자의 제자 증삼(曾參)의 문하에 들어갔으나 모친이 죽었는데도 고향에 돌아가서 상복을 입지 않았으므로 파문을 당하자 유학(儒學)을 단념하고 병법을 배워 이름을 날리게 되었다. 제나라 군사가 노나라를 공격해오자 노(魯)나라 군주는 오기를 장군을 삼고자 했으나 그의 아내가 제나라 사람이었으므로 반대에 부딪치자 오기는 손수 제 아내를 죽여 충성을 보여준 후 장군으로 기용되어 제를 물리친 후에 더욱 유명해졌다 [殺妻求將(살처구장의 고사)]. 그런데 또 위(衛)나라 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충의를 의심받자 노나라를 버리고
경기헤드뉴스 임채헌 기자 | '도광양회(韜光養晦)’란 ‘칼을 칼집에 넣어 검광(劍光)이 밖으로 새나가지 않게 하고 그믐밤 같은 어둠 속에서 실력을 기른다’는 뜻을 가진 사자성어다. '도광'은 빛을 감춘다는 뜻이고, '양회'는 어둠속에서 때를 기다린다는 뜻이다. 원래는 삼국지연의에서 유비가 조조의 식객으로 있으면서 자신의 재능을 숨기고 은밀히 힘을 기른 것을 뜻하는 말이었다. 나관중(羅貫中)의 소설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서 유비(劉備)가 조조(曹操)의 식객 노릇을 할 때 살아 남기 위해 일부러 몸을 낮추고 어리석은 사람으로 보이도록 하여 경계심을 풀도록 만들었던 계책이다. 또 제갈량(諸葛亮)이 천하 삼분지계(三分之計)를 써서 유비로 하여금 촉(蜀)을 취한 다음 힘을 기르도록 하여 위(魏)·오(吳)와 균형을 꾀하게 한 전략 역시 도광양회 전략이다. 그러나 도광양회가 널리 알려진 것은 이러한 고사 때문이 아니라, 1980년대부터 중국이 취한 대외정책 때문이다 발췌 : 위키백과
영양소 풍부한 10월 제철 농산물 2가지 어디에나 요리, 조리 ‘대파’ 알싸한 매운맛과 입맛을 돋우는 아삭아삭한 식감, 불에 익히면 단맛을 내는 다채로움으로 찌개부터 볶음, 찜까지 많은 요리에 활용되고 있는 대파. 대파에 함유되어 있는 베타카로틴은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대파의 뿌리에는 면역력을 높여주는 알리신 성분이 풍부하다. 또한 대파는 활발한 장운동과 숙변 제거, 콜레스테롤의 체내 흡수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만큼 비만 예방 및 다이어트에도 좋은 채소이다. 신문지에 잘 싸서 냉장보관하며, 사용한 대파는 물기 제거 후 절단하여 밀폐 용기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환절기 건강백서 ‘생강’ 매운맛과 강렬한 향으로 음식에 풍부한 향미를 높여주는 생강은 각종 양념과 소스에 빠지지 않는 중요한 식재료이다. 생강은 감기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생강에 함유된 진저롤과 효가올 성분이 혈액순환을 활성화하여 신체를 따뜻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생강은 염증 진정 및 식욕 증진에도 뛰어나며, 동맥경화나 고혈압 등 성인병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생강은 조직이 단단하고 매끄러우며, 황토색을 띠는 것이 좋다. 문의=농림축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교육문
경기헤드뉴스 임채헌 기자 | 늙은 말의 지혜(智慧)’란 뜻으로 아무리 하찮은 사람도 각자 그 나름의 장기나 슬기(장점)를 하나쯤은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삶의 경험에서 나오는 지혜는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커다란 가치를 지닌다. 누구도 모든 지혜를 품을 순 없고 누구도 모든 앎을 담을 순 없다. 그러니 지혜는 나누고, 모르는 건 물어야 한다. 묻는 건 결코 수치가 아니다. 진짜 부끄러운 건 모르는 걸 아는 척하는 거다. ‘척’하면 잃는 게 많다. 앎도 잃고, 지혜도 잃는다. 늙은 말, 개미에게서도 배울 게 많은 게 인생이다. 老:늙을 로 馬:말 마 之:갈 지 智:지혜 지 일부 발췌 : 신동열 한경닷컴 칼럼니스트
경기헤드뉴스 임채헌 기자 | 춘추시대 때 초나라의 장왕이 무슨 전쟁에서 이겨가지고 문무백관을 모아 성대한 연회를 했다. 한창 즐기고 있는데 바람이 불어서 등불이 다 꺼졌다. 그래도 다들 꽤 취해서 그러려니하고 놀고 있는데 왕의 애첩이 비명을 지르더니 장왕에게 가서 '누군가가 어둠을 틈타 저의 가슴을 만지고 희롱했습니다. 제가 그 남자의 갓끈을 뜯어 표시를 해두었으니 등불을 켜고 갓끈이 없는 자를 잡아주세요' 그러자 장왕이 다들 격식차리지 말고 편하게 즐기자며 모두 갓끈을 풀게 한 뒤에 등불을 켜서 결국 범인은 찾아내지 못한 채 연회가 끝났다. 몇년뒤에 진나라와 초나라가 전쟁을 했는데 초나라가 져서 장왕도 목숨이 위태로운 상황에 처했을 때 한 장수가 목숨을 걸고 피투성이가 된 채로 장왕을 구했다. 그때 장왕이 묻기를 '내가 그대에게 특별히 잘해준 일이 없는데 어찌하여 죽음을 재촉하며 싸웠는가?'하자 그 장수가 3년 전 폐하의 애첩을 희롱했던 남자는 자기였으며 그때 장왕의 은덕이 아니었다면 이미 죽은 목숨이었기에 이후로는 목숨을 바쳐 은혜에 보답하려 했다는 말을 남기고 숨을 거두었다 絶:끊을 절 纓:갓끈 영 : 之:어조사 지 宴:잔치 연
케일은 로마시대부터 약초로 쓰였을 만큼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식재료이다. 또한, 케일은 세계의 영양 학자들과 세계보건기구 (WHO)가 뽑은 최고의 채소 중 하나로 알려 져있다. 케일은 녹황색 채소 중에서 베타카로틴의 함량이 가장 높기 때문에 항암작용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으며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하루 150g 정도를 섭취하는 게 적당하다. 케일의 효능으로는 혈액의 세포 형성을 도와주기 때문에 피를 맑게 해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장을 청소하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케일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항산화 물질은 세포의 생성을 도울 뿐만 아니라 노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산화를 방지하기 때문에 암과 퇴행성 질환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케일의 비타민 C는 시금치의 약 4.5 배이며, 대부분의 다른 야채보다 비타민 C가 훨씬 더 많이 들어있다. 케일 즙 한 컵에는 오렌지 보다 훨씬 많은 비티민 C가 들어있다. 비타민 C는 인체의 자연적인 면역력과 회복 능력을 높여주는 항산화제 역할을 한다. 특히, 케일은 루테인, 비타민 A, 비타민 K 등이 풍부한데 강력한 항염, 해독작용 기능을 하는 영양소로 몸속 염증을 제거하고 염증
최근 코로나19가 장기화 됨으로 야외 활동에 많은 제약이 생기고, 게다가 줄어든 일조량 으로 인한 비타민 D 부족에 각별한 관리가 더욱 필요해지게 되었다. 우리 몸에서는 피부에서 햇볕을 이용해 비타민D를 합성하는데, 이와 같은 야외 활동이 감소 하게 되면 비타민D 결핍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비타민D 결핍 증상 비타민D는 우리 몸에서 주로 칼슘의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위장관에서는 칼슘의 흡수를 촉진하여 뼈의 건강을 유지해주며, 뼈를 튼튼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우리 몸에 충분한 비타민 D가 필요하다. 비타민 D는 햇빛을 받으면 피부 내 세포조직에서 합성되는데, 이때 합성된 양이 대사에 필요한 양보다 부족하면 음식물로부터 섭취해야만 한다. 비타민 D는 결핍 시 나타날 수 있는 구루병이 대구 간유로 치료되면서 치료에 기여한 성분을 비타민 D로 명명한 것이다. 또한, 우리 몸의 다양한 면역반응에도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비타민D가 부족하게 되면 뼈의 밀도가 감소하게 되고, 성인에서 골연화증, 심하게는 골다공증을 유발시키기도하며, 청소년기에는 구루병이 발생할 수 도있다. 골다공증 검사 방법 골다공증은 골밀도를 측정하여 검사하는데, 표준적인 골밀
경기헤드뉴스 성미연 기자 ▲ 모르는 일은 항상 전문가에게 물어야 한다. ▲ 耕(밭 갈 경) 當(마땅 당) 問(물을 문) 奴(종 노) 농사일은 머슴에게 물어야 한다는 뜻으로, 일은 항상 그 분야의 전문가와 상의하여 행해야 한다는 말이다. 논밭을 경작하는 농사일은 글을 많이 읽어 아는 것이 많은 주인도 모르는 분야다. 이런 일은 의당 머슴에게 물어보아야 한다는 뜻의 이 성어는 남조(南朝) 양(梁)나라의 문인 심약(沈約)이 쓴 ‘송서(宋書)’에서 유래했다. 직당문비(織當問婢)라는 말도 같은 뜻으로 나왔다. 중국 남북조시대는 남쪽에 한족의 송나라가 북쪽의 오호십륙국(五胡十六國)과 대치한 서기 420~589년 시기를 말한다. 북쪽의 혼란을 수습한 북위(北魏)가 북방의 이민족을 치려고 군사를 일으키자 송나라의 문제(文帝)는 정벌할 기회가 왔다고 판단했다. 당시 송에는 심경지(沈慶之)라는 책략이 뛰어난 무관이 있었다. 먼저 왕이 출병의사를 물었으나 아직 북위를 이길 수 없다고 답했다. 왕은 고집을 꺾지 않고 전쟁경험이 전혀 없는 문신들에게 물으니 때는 지금이라며 전쟁을 부추겼다. 심경지가 북벌의 실패를 들어 문신들을 꾸짖으며 여전히 반대했다. “국가를 다스리는 일은 집안
경기헤드뉴스 성미연 기자 | ▲ 둔한 말이 열흘 동안 수레를 끌다. ▲ 駑 (둔한 말 노) 馬(말 마) 十(열 십) 駕(멍에 가) 둔한 말도 열흘 동안 수레를 끌 수 있다는 뜻으로, 재주 없는 사람도 노력(努力)하고 태만(怠慢)하지 않으면 재주 있는 사람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순자는 중국 전국시대(기원전 403~221년) 말기 조나라 사람으로 성악설을 주창해 맹자를 비판했다. 그의 사상을 모은 ‘순자’는 여러 번 정리를 거쳐 32편으로 되어 있다. 둔한 말의 사례는 몇 곳에 나오는데 가장 먼저 처음 나오는 권학편에 실린 내용이다. 다음에 나오는 수신 편의 부분도 비슷하다. ‘무릇 천리마는 하루에 천 리를 거뜬히 달리지만, 비루먹은 말일지라도 열흘 동안 달려간다면 역시 이에 미칠 수 있다’ 고 기록되어 있다. 이렇듯, 배움을 이루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일관된 의지와 실천이라고 순자는 강조했다.
경기헤드뉴스 성미연 기자 | ▲ 난관을 극복하는데 교묘한 재주를 가짐 ▲ 狡(교활할 교), 兎(토끼 토), 三(석 삼), 窟(팔 굴) 교활한 토끼가 제 목숨을 지키기 위해 숨을 굴을 세 개나 마련한다는 뜻으로 교묘하게 잘 숨어 재난을 피하는 것을 이른다. 그런데 자기가 살기 위해 몇 개든 은신처를 만들어 놓는 것은 지혜를 칭찬할 일이지 비난할 일 만은 아니다. 단지 아무리 안심할 만한 곳이라도 언제 위험이 닥칠지 모르므로 항상 단속을 잘 하라는 의미로 받아들이면 되는 성어다.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맹상군 열전과 전한시대 학자 유향(劉向)의 ‘전국책(戰國策)’ 등에 실려 있는 글이다. 하찮은 재주를 가진 사람도 내치지 않아 큰 도움을 받게 된다는 계명구도라 하면 제(齊)의 재상 맹상군(孟賞君)이 연상되는데 여기에도 등장한다. 전국시대(기원전 403~221년) 말기 각 제후국에서 활약했던 전국사공자 중에서도 맹상군(孟賞君)은 가장 유명한 사람으로 식객이 3000여 명이나 되었다고 한다. 무위도식하는 풍환이란 사람도 그 중 한명이었다. 하루는 설(薛)이라는 지역 사람들이 맹상군에 빚을 지고 있었는데 상환 독촉을 위해 풍환이 자청해 가서 빚을 탕감해주고
경기헤드뉴스 성미연 기자 | 당장 편한 것만 택하는 임시변통의 계책 姑(시어미 고), 息(숨 쉴 식), 之(갈지), 計(꾀할 계) 부녀자나 어린아이가 꾸미는 계책 또는 잠시 모면하는 일시적인 계책이라는 뜻으로 근본 해결책이 아닌 임시방편이나 당장에 편한 것을 취하는 꾀나 방법을 말한다. 낡은 인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눈앞의 편안함만을 추구한다는 인순고식(因循姑息)과 비슷한 의미이다. 속담으로 ‘언 발에 오줌누기’, ‘눈 가리고 아웅하기’가 비슷한 뜻으로 사용된다. <시자(尸子)>에 “은나라 주왕은 노련한 사람의 말을 버리고 부녀자나 아이의 말만 사용하였다”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눈앞의 손익만 보는 사람의 말을 들으면 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뜻이다. 또한, <<예기(禮記)>>의 <단궁편>에 “증자가 말하기를 군자가 사람을 사랑할 때는 덕으로, 소인이 사람을 사랑할 때는 고식으로 한다”라는 구절이 있다. 이는, 군자는 덕으로 사랑하기에 오래가고 소인은 눈앞의 이익을 두고 사랑하기 때문에 오래가지 못하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경기헤드뉴스 권준형 기자 | 김민석 총리와 함께 ‘장영실함’에 들어가 직접 확인! 한화오션 거제 조선소에서 이뤄진 한국-캐나다 두 총리의 만남 출처 : KTV 국민방송
경기헤드뉴스 권준형 기자 | 한미 관세 협상의 일등공신. 트럼프 대통령이 터프한 협상가라 극찬한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11월 3일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알리기 위해 대형마트를 찾았습니다.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은 올해로 10주년을 맞은 '코리아 세일 페스타'의 통합.확장판으로, 정부와 기업이 함께 준비한 국가 차원의 소비진작 행사인데요. 그 현장 영상에서 확인하세요 - 출처 : KTV 국민방송
경기헤드뉴스 권준형 기자 | 기자 Q&A 바로가기 [우리 사회, 인공지능이라는 거대한 변화에 직면하고 있어] ✔단순한 기술을 넘어 교육·연구·산업·사회 전반의 체계를 바꾸고 있어 ▪️우리 정부, 인공지능 분야에 대대적인 투자를 추진 중 ▪️인프라·데이터 확충과 함께 교육을 통한 AI 인재 양성 매우 중요하게 뒷받침되어야 ▪️AX 시대로의 전환...누구나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생활 속의 필수 기술로 자리 잡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다층적 인재 양성을 위해 노력해야 [전 생애주기에 걸쳐 인공지능 교육 강화하는 모두를 위한 AI 인재 양성 방안 수립] ✔전 생애 주기에 걸쳐 AI 기본 교육 강화 ▪️AI·디지털 교육, 초·중등 교육에 초점...고등·평생 교육 상대적으로 부족한 측면 있었어 ▪️고등·평생 분야에 구체적 과제 추가 ✔초·중등 학교, 안전하고 책임 있게 인공지능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 ▪️올바른 사용을 위한 AI 윤리 등 리터러시 교육 강화 ▪️교육 과정 재구성을 통해 AI 교육 시간을 늘리고, 선생님들의 AI 역량 강화 지원 ✔AI 중점 학교 현재 전국 730개...2028년에는 2,000개 학교까지 단계적으로
경기헤드뉴스 권준형 기자 | 손석락 공군참모총장이 11월 5일 경남 사천기지에서 KF-21 전투기에 탑승해 시험비행을 실시했습니다. 이번 시험비행은 공군에서 운영하게 될 KF-21에 참모총장이 직접 탑승해 성능을 확인하고 향후 각종 국내·외 행사에서 KF-21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한 것이라고 공군은 전했는데요. 손석락 총장의 지휘비행, 영상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출처 : KTV 국민방송
경기헤드뉴스 권준형 기자 | 제19회 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의 날 기념식 출처 : KTV 국민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