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0.7℃
  • 맑음강릉 8.8℃
  • 맑음서울 2.9℃
  • 맑음대전 0.1℃
  • 맑음대구 0.7℃
  • 맑음울산 4.0℃
  • 맑음광주 3.7℃
  • 맑음부산 7.9℃
  • 맑음고창 -0.2℃
  • 맑음제주 8.1℃
  • 맑음강화 0.4℃
  • 맑음보은 -2.8℃
  • 맑음금산 -2.2℃
  • 맑음강진군 1.3℃
  • 맑음경주시 0.0℃
  • 맑음거제 4.3℃
기상청 제공

한자talk talk

중석몰촉(中石沒鏃)

 

경기헤드뉴스 임채헌 기자 |

 

中:가운데 , 石:돌 , 沒 잠길: , 鏃 화살:

 

돌에 박힌 화살촉이라는 뜻으로 정신을 집중하면 때로는 믿을수 없을 만한 큰 힘이 나올수 있음을 이르는 뜻이다.

 

전한(前漢)의 이광(李廣)은 영맹한 흉노족의 땅에 인접한 농서[隴西:감숙성(甘肅省)] 지방의 무장 대가(武將大家) 출신으로, 특히 궁술(弓術)과 기마술이 뛰어난 용장이었다.

 

문제(文帝) 14년(B.C. 166), 이광은 숙관(肅關)을 침범한 흉노를 크게 무찌를 공으로 시종 무관이 되었다. 또 그는 황제를 호위하여 사냥을 나갔다가 혼자서 큰 호랑이를 때려잡아 천하에 용명(勇名)을 떨치기도 했다.

 

그 후 이광은 숙원이었던 수비 대장으로 전임되자 변경의 성새(城塞)를 전전하면서 흉노를 토벌했는데 그때도 늘 이겨 상승(常勝) 장군으로 통했다. 그래서 흉노는 그를 ‘한나라의 비장군(飛將軍)’이라 부르며 감히 성해를 넘보지 못했다.

 

어느 날, 이공이 사냥을 나갔는데 수풀 속에 호랑이가 웅크리고 있는 모습을 보고 정신을 집중하고 모든힘을 다하여 호랑이에게 활을 쏘았고, 화살이 적중하여 호랑이가 죽었다고 생각한 이광은 사냥감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가갔다.

 

그러나 가까이 다가가서 보니 화살이 꽂힌 것은 호랑이가 아닌 바위였다.

바위를 호랑이로 착각하였다는 것을 깨달은 이광은 단단한 바위에 화살이 박힌 것을

신기하게 생각하여 다시 바위를 향해 화살을 쏘아보았으나 두번 다시 화살이 바위에 박히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영상출처:흥국생명

 

프로필 사진
임채헌 기자

임채헌
ghnews8567@daum.net
010-5170-7937

많이 본 기사

더보기

BEST 영상뉴스